학교공부/컴퓨터네트워크

[컴퓨터네트워크] 컴퓨터네트워크 (Computer Network) 3단원 정리 (2)

yunmap 2017. 10. 29. 14:19

Transmitter가 receiver에게 collision을 알리기 위해서 jam signal을 사용한다.

preamble : 8B 짜리의 bit로, receiver가 sender의 clock과 synchronize 할 수 있도록 한다.

repeater : 좀 더 긴 거리를 통신할 수 있도록 bit를 amplify해준다. (beyond length limit)

그러나, one network with repeater 환경은 single collision domain이라서 network가 최소 packet length에 한정되어 있다.

Slotted ALOHA는 ALOHA에 비해서 window of vulnerability의 사이즈가 반이다. 그래서 throughput이 G*exp(-G)로 줄어든 것.

CSMA/CD의 조건 : 

(1) Ttrans>2Tprop

packet이 다 전송되기 전에 collision이 일어난 것을 detect 해야 한다. (first 1 bit의 수신으로 collision을 detect 한다.)

(2) slotTime = bandwidth*delay + jam time + safety margin

bits TXed by source during maximum RTT and collision handling on Ethernet

Ethernet Frame > slotTime

(3) performance = NC1 * p(1-p)^(N-1). max는 p가 1/N일 때 1/e

(4) efficiency = 1/(1+5 Tprop/Ttrans) 5 대신 3.4도 무방하다.

 

HUB : multi port REPEATER. Layer 1에서 동작하며 input bit를 받아서 모든 output port에 broadcast 해준다.

여러 개가 input으로 들어오면 collision detected signal을 내보낸다. overhead가 크고, CSMA/CD가 필요.

Ethernet : star topology

All node are in single collision domain. cannot overcom limit of network dimension.

 

Bridge : connect different segment of Ethernet at layer2. (data link)

특정(해당) address의 output port에만 전송한다. overhead가 작음.

separated collision domain.

switch : multiport bridge. collision이 rare 하게 발생한다.(overflow). 그래서 CSMA/CD가 필요 없다. expensive.

 

LAN은 대부분, star topology와 unshielded twisted pair를 이용한다. (UTP)

 

WIFI : ADhoc or AP. CSMA/CA를 사용한다.

DSSS : physical layer에서 security를 위해 receiver와 sender만 random sequence를 알 고 있고 실제 데이터는 이 sequence와 xor 한 결과를 전송한다.

CSMA/CD는 TX와 RX를 동시에 사용하여 TX를 하던 도중 RX를 만나서 colision을 detect 한다. wifi에서 쓰기엔 power 소비도 너무 크고, expensive 하다. 게다가 hidden node problem이 발생한다. -> MACAW가 대안 (RTS-CTS-DATA-ACK)

physical carrier sense : sense physical channel signal strength (sense presence of traffic)

virtual carrier sense : NAV(duration을 믿는다.) NAV 동안에는 power를 save 할 수 있음. RTS-CTS-DATA-ACK

그럼에도 불구하고 collision은 발생 가능하다. (errors in control packet(NAV), collision in RTS/CTS, mobility)

operation :

infrastructure mode : (sense)-DATA-ACK

ad-hoc mode : (sense)-RTS-CTS-DATA-ACK

service model :

PCF : master-slave. polling

DCF : P2P. contention-based. multi-hop과 adhoc에 적합. CSMA/CA

AP에 DCF를 많이 이용한다.

 

Virtual circuit : control plane(path discovery and path setup), data plane. connection-oriented

circuit 생성 후 reserver resource -> resource along citcuit은 stable 하다. (circuit switch와 유사)

Temporary 한 VCI가 존재한다.

switch가 VCI를 변경해준다.

 

Datagram : learning bridge, connectionless, forwarding table (이 table 생성하는 과정을 routing이라고 한다.)

packet을 수신 : promiscuous mode

상대가 어디 있는지 몰라서 broadcast 하는 것 : flooding

table은 timeout 되면 refresh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