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텀 과제로 DB와 sql query 문을 이용하여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주어졌었다. 나한테는 이 과제가 굉장히 어려웠던 이유는 웹 페이지를 만들어 본 적이 없어서 php까지 배워야 했기 대문이다. 그래서 과제를 거의 두 달 정도 기간을 잡고 했었다. 물론, 두 달 동안 매일 한 것은 아니고 조금씩 오래 했던 것 같다. php를 이용하면 웹 사이트를 DB와 연결한 뒤 sql query 문을 적절히 적용하여 여러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과제를 위해 여러 자료를 찾아보던 중 XAMPP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XAMPP는 php, database 를 사용할 수 있도록 apache 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이다. XAMPP를 먼저 설치한 뒤 무료 html 템플릿을 다운받았다. 그렇게 첫 화면 ..
나는 Tistory 블로그에 원래 주어지는 기본 테마를 이용한다. 기본 테마가 예쁘고 깔끔하지만, 포인트 색이 마음에 안 들었다. 이게 기존의 포인트 색인데 명도가 낮아서 좀 어두운 느낌을 준다. 하지만 나는 밝고 명랑한 사람이라 색상표를 뒤져서 나와 가장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색을 찾았다. 그래서 찾은 색이 이 색이다. 모바일로 보면 색이 구별이 안 될 가능성이 높다.. 데스크톱으로 보면 차이가 보일 것이다. 색을 바꾸는 방법은 굉장히 간단하다. 먼저, 사용할 테마를 선택한 뒤 HTML/CSS 편집을 누른 후 CSS 탭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바꾸고 싶은 색상의 색상 코드를 찾아야 한다. 그 색상이 어느 부분에서 사용되었는지만 확인하면 그 색상의 코드는 쉽게 알 수 있다. 색상 코드는 #000000 형식으..
예전에 jekyll 사용할 때도 그렇고, 지금 사용하고 있는 tistory 블로그도 그렇고 몇 개의 테마에 '반응형'이라는 말이 들어가 있다. 처음엔 3D 터치 같은 포스 터치와 관련 있는 거라고 추측하고 여러 번 눌러봤는데 아니었다.... 여러 사이즈의 디지털 기기가 나오고 있는데 사이즈별로 구별을 해보자면, 간단히 3가지가 있다. 노트북(일반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반응형 웹이란, 웹을 연 화면의 사이즈에 따라 모양을 달리하여 최적화된 화면으로 보여주는 웹을 말한다. 내 블로그는 반응형 테마를 사용했다! 만약 지금 노트북으로 보고 있다면, 창 사이즈를 줄이면 태블릿 용 화면이 나온다!!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으로 보면 더 간결한 화면이 나타난다 반응형 웹도 찾아보니 css와 js를 통해 구축..
CNTK 설치는 굉장히 간단해서 설치 url만 있으면 쉽게 따라 할 수 있지만 '영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한국어로 좀 번역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은 Window에 CNTK를 설치하는 과정이다!!! 리눅스에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jupyter notebook을 사용하면 윈도에서도 가능하다. 난 윈도우가 좋다..ㅎ 자발적인 에반젤리즘~ 굿굿 1. 먼저 설치 url로 접속한다. (클릭 시 이동) 2. 아래의 버전 중 원하는 버전을 선택한다. 나는 python 3.5에 CPU-only를 선택하였다. 3. 그리고 jupyter notebook을 사용하기 위한 Anaconda를 설치해준다. Anaconda가 설치 완료된 후에 그다음 설치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번거로운 과정이 추가되지 않도록. 4. 탐..
한 달 전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고 네이버와 구글에서 검색이 되도록 하기 위해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하여 신청했습니다. 네이버에 등록하는 방법은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구글에 등록하는 방법은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 이후의 과정인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과정입니다. 사이트맵은 제출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제출하면 좀 더 검색이 활발해지는 것 같습니다. 사이트맵 제출은 시간이 좀 더 걸릴 뿐 간단합니다. 1. 먼저 사이트맵을 생성하기 위한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클릭시 이동됩니다.) 2. 본인의 블로그 주소를 적은 뒤 'Get free XML Sitemap'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노란색으로 표시 된 정보를 입력하고 'Create free XML Sitemap'을 눌러서 사이트맵을 생성합..
요새 ML이 정말 트렌드인가 보다. 개발자 학생을 대상으로 관심분야를 조사했는데 인공지능, 머신러닝이 진짜 압도적으로 1위였다. 그리고 다들 구글의 텐서 플로우는 많이 알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CNTK... 는 잘 모르는 것 같다.. 왜냐면 점유율이 없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 하면 대부분 오피스.. 윈도우..를 이야기한다.. 좀 더 안다면 Azure 정도..? 우리 CNTK, Cognitive Toolkit도 널리 알리기 위해 공부를 시작해보고자 한다. 우선 설치는 되게 간단하다! 나는 윈도우를 사용하고, 리눅스는 잘 사용하지 않는데 윈도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MS 제품이라 당연한걸지도 모르겠다. 우선 설치 링크는 클릭하면 이동된다. 설치를 하면 jupyter notebook을 통해 CNTK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