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 : infrared 적외선.
10m 이내의 근거리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
적외선은 가시광선의 붉은 영역 바로 옆 -> 가시광선과 특성이 비슷하지만 파장이 약간 더 길다. -> 사람의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지만, 스마트폰의 카메라로는 확인이 가능.
일반적인 적외선 통신은 37.9/40/56 kHz 반송파를 통해 변조된 신호가 전송된다.
38kHz는 데이터 전달을 위해 사용. 대부분의 리모컨.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반송파를 제거하고 펄스열로 바꾸는 역할을 함. Microcontroller에서 펄스열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알아낼 수 있음.
적외선 리모컨 신호
4바이트 데이터를 전송.
리드코드 2바이트/커스텀 코드2바이트/데이터 코드 2바이트
리드코드 : 데이터의 시작을 알린다.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펄스 폭보다 폭이 긴 on/off 신호로 구성.
리드코드 이후의 4바이트 데이터는 펄스 거리 인코딩 방식이 사용된다.
커스텀 코드는 제조사 및 제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고, 데이터 코드는 해당 젶ㅁ의 리모컨 키 값에 해당.
2바이트의 데이터 코드 중 실제로 의미있는 데이터는 한바이트 뿐. 나머지 1바이트는 반전된 값.
펄스 거리 인코딩 : 상향 에지 사이의 시간을 통해 논리0과 논리1을 구별.
커스텀코드와 데이터코드는 펄스거리 인코딩 방식을 사용한다.
'학교공부 > 사물인터넷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물인터넷설계]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0) | 2017.07.30 |
---|---|
[사물인터넷설계] USB (Universal Serial Bus) (0) | 2017.07.30 |
[사물인터넷설계]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0) | 2017.07.30 |
[사물인터넷설계] 아두이노의 통신 방법 (UART, SPI, I2C) (2) | 2017.07.30 |
[사물인터넷설계] 아두이노와 아두이노 보드 (0) | 2017.07.30 |
댓글